2025년은 시니어에게 중요한 해입니다.
국민연금 개편, 기초연금 인상, 퇴직연금 제도 개선 등 고령층의 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 변화가 본격화됩니다.
특히 65세 이상 시니어의 월 소득 안정성을 높이고, 연금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한 국가 지원 확대가 핵심입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에 달라지는 주요 연금정책과 시니어가 꼭 알아야 할 신청 방법, 혜택 조건을 정리했습니다.

1. 2025년 국민연금 주요 변경사항
🧾 ① 소득대체율 유지 (40%)
- 정부는 기존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40%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.
→ 즉, 평균 소득의 약 40%를 연금으로 받는 구조는 그대로 유지됩니다. - 단, 장기적으로 보험료율(현재 9%) 인상 논의는 진행 중입니다.
💡 연금개편이 논의되더라도, 이미 가입 중인 시니어의 수급액은 줄지 않습니다.
💰 ② 국민연금 수령액 인상 (물가연동)
- 2025년 1월부터 소비자물가 상승률(약 2.6%) 이 반영되어
모든 국민연금 수급자의 월 연금액이 평균 2.6% 인상됩니다. - 예: 100만 원 → 102만 6천 원으로 조정
👉 참고: 물가 상승기에 연금 실질 가치 유지 목적
🧓 ③ 연금수급연령 조정 없음
- 현행 만 63세(1960년생 기준) 수급 연령 유지
- 1969년 이후 출생자는 단계적으로 65세로 상향 예정이지만,
현재 65세 이상 시니어는 기존 조건 그대로 적용됩니다.
2. 2025년 기초연금 인상
구분2024년2025년 (예정)비고
| 단독가구 | 월 323,180원 | 월 340,000원 | 약 1.7만 원 인상 |
| 부부가구 | 월 517,080원 | 월 544,000원 |
- 2025년부터 기초연금 월 최대 34만 원으로 인상 예정
- 소득 하위 70% 이하 시니어 대상
- 1인 가구 기준 소득인정액 약 210만 원 이하
💡 기초연금은 국민연금 수령액이 적거나 없는 시니어에게 중요한 생활자금입니다.
👉 관련 글 보기: 시니어 금융 사기 예방 가이드
3. 퇴직연금(DC·IRP) 제도 개선
💼 ① 퇴직연금 수익률 공개 의무화
- 2025년부터 모든 금융사가 퇴직연금 수익률을 투명하게 공시해야 합니다.
- 가입자는 여러 금융사 상품을 비교해 더 높은 수익률 선택 가능
📊 ② 개인형 IRP 세제 혜택 확대
- 연금저축+IRP 세액공제 한도: 900만 원 → 1,000만 원으로 확대
- 고령층일수록 세액공제율(13.2%) 그대로 유지
💡 즉, 60세 이상 시니어가 IRP에 1,000만 원 납입 시, 약 132만 원 세금 절약 효과
4. 농어업인·저소득층 연금 지원 확대
🌾 ① 농어업인 연금보험료 지원
- 월 보험료의 50% 정부 지원 (최대 4만 5천 원 한도)
- 2025년부터 지원 대상 60세 미만 → 64세 이하로 확대
💵 ② 저소득층 연금보험료 지원제도 강화
- 지역가입자 중 월 소득 100만 원 이하 시
→ 정부가 보험료의 최대 75% 지원
5. 연금 사기·피싱 주의사항
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‘연금 수령액 늘려준다’
‘국민연금 재조정 필요’ 등의 보이스피싱이 급증하고 있습니다.
🔒 꼭 기억하세요
- 국민연금공단은 전화로 계좌정보나 비밀번호를 절대 요구하지 않습니다.
- 모든 연금 관련 안내는 공식 우편 또는 ‘내 연금조회’(gov.kr)에서만 확인하세요.
👉 관련 글 보기: 가짜 은행 앱 구별하는 방법
6. 시니어가 지금 해야 할 준비 3가지
1️⃣ 내 연금정보 확인하기
- [내 연금. kr] 또는 국민연금 앱에서 예상수령액 조회
2️⃣ 기초연금 신청 여부 점검
-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(bokjiro.go.kr)에서 신청 가능
3️⃣ 퇴직연금 관리하기
- 은행 앱 또는 IRP 계좌에서 수익률 비교 및 자동이체 설정
마무리
2025년 연금정책은 “더 오래, 더 안정적으로” 살아가는 시니어를 위한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.
국민연금의 실질가치 보전, 기초연금 인상, 세제 혜택 확대는
모두 노후의 기본소득 안정을 위한 변화입니다.
중요한 건 제도보다 ‘내 연금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관리하는 습관’입니다.
올해는 ‘내 연금 점검의 해’로 삼아 보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