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대한민국은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진입했습니다. 정년퇴직 이후에도 일하고 싶은 시니어가 많아지고, 정부 역시 “일할 수 있는 노년”을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 특히 60세 이상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공공형 일자리, 사회공헌형, 재취업 지원제도가 강화되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정년퇴직 후에도 활기찬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2025년 현재 시행 중인 시니어 맞춤형 일자리 정책과 활용 팁을 정리했습니다.

1. 시니어 일자리 정책의 기본 방향 (2025년)
정부는 2025년을 “시니어 경제활동 참여 강화의 해” 로 지정했습니다.
핵심 목표는 세 가지입니다.
✅ ① 고령층의 지속 가능한 일자리 확대
✅ ② 경력 기반 재취업 지원
✅ ③ 사회공헌형 일자리 활성화
💡 2025년 고용노동부 & 보건복지부 공동 추진 사업 규모는 총 97만 개 일자리입니다.
2. 시니어를 위한 주요 일자리 유형
| 공공형 일자리 | 지자체 행정지원, 복지시설 보조, 환경관리 | 약 30~60만 원 | 6~10개월 |
| 사회서비스형 | 돌봄, 안전지킴이, 급식 도우미 등 | 약 70만 원 | 10개월 |
| 시장형(소규모 창업) | 카페, 공방, 재활용 사업 운영 | 수익형 (월 80만 원 이상) | 상시 |
| 전문경력형 | 은퇴 전문직의 컨설팅·멘토링 | 월 100만~150만 원 | 12개월 |
| 디지털 일자리형 | 온라인 홍보, 스마트폰 교육 등 | 약 80만 원 | 6개월 이상 |
💡 특히 2025년부터 “시니어 디지털 도우미 사업”이 확대되어,
스마트폰 사용법·공공앱 활용을 돕는 일자리가 늘었습니다.
👉 관련 글 보기: 시니어 디지털 적응 가이드 시리즈
3. 2025년 주요 정부 지원사업 요약
👷♂️ ① 시니어클럽 일자리 (보건복지부)
- 60세 이상 어르신 대상 공익형·시장형 사업
- 전국 1,400개 시니어클럽 운영
- 예: 카페 운영, 지역 식당 조리 보조, 공공기관 안내도우미
신청: 가까운 시니어클럽 또는 복지관 방문
모집 시기: 매년 1~2월, 하반기 추가모집 가능
💻 ② 고령자 디지털 일자리 (고용노동부)
-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시니어를 대상으로
정부·공공기관의 전자문서·자료정리·디지털 행정지원 담당 - 2025년부터 ‘디지털 공공서포터스’ 신설
보수: 월 약 90만 원
참여 기간: 6개월
🏢 ③ 고령자친화기업 지원사업
- 60세 이상 고용비율이 높은 기업에 정부가 인건비 지원
- 시니어 전문직 재취업에 유리
참여 방법: 고용노동부 ‘고령자친화기업 인증제’ 사이트에서 모집 공고 확인
혜택: 기업에는 인건비 지원, 근로자에겐 장기 고용 보장
🧓 ④ 노인일자리·사회활동 지원사업 (복지부 + 지자체)
- 공공시설 관리, 지역 청결활동, 장애인 지원 등
- 만 65세 이상 저소득층 중심
보수: 월 30만 원 내외
근무시간: 주 10~15시간
🏫 ⑤ 신중년 경력활용 사회공헌사업
- 정년퇴직한 베이비붐 세대의 전문 경력을 활용
- 청년 멘토링, 창업 지도, 기술 컨설팅 등 수행
지원 대상: 만 50세~70세
보수: 월 100만 원 내외
운영기관: 한국노인인력개발원
👉 관련 글 보기: 시니어 온라인 강의 & 재교육 플랫폼 활용하기
4. 시니어 일자리 찾는 방법
1️⃣ 노인일자리포털 (seniorro.or.kr)
- 전국 일자리 모집 현황 확인
-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
2️⃣ 워크넷(work.go.kr)
- 60세 이상 전용 채용공고 필터 제공
- ‘시니어 우대 기업’ 검색 가능
3️⃣ 지자체 복지관·시니어클럽 방문
-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추천
- 대면 상담 및 현장 매칭
4️⃣ 한국노인인력개발원 (kordi.or.kr)
- 경력형·사회공헌형 일자리 통합 관리
5. 시니어 창업 및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 (2025년)
💡 신중년 창업지원센터
- 50~70세 대상
- 무료 창업교육, 멘토링, 초기비용 일부 지원
💼 시니어 재취업 아카데미
- 직업훈련 + 취업 알선
- “경비·시설관리·간병·디지털 문서관리” 등 과정 운영
💬 커뮤니티케어 일자리
- 지역 돌봄·안전 지원 인력
- 2025년 10만 명 규모 확대
6. 시니어가 일자리 참여 시 주의할 점
✅ 과도한 노동 피하기
→ 주 20시간 이하 근무로 건강 유지
✅ 임금 미지급 예방
→ 계약 전 근로조건 명시, 시니어클럽 통해 공식 등록
✅ 디지털 근로계약 주의
→ 문자·카톡 링크 통한 가짜 채용 사이트 주의
👉 관련 글 보기: 가짜 은행 앱 구별하는 법
7. 시니어를 위한 일자리 준비 팁
1️⃣ 내가 좋아하는 일부터 찾기
→ 취미를 수입으로 바꾸는 구조(예: 원예, 사진, 바리스타)
2️⃣ 건강 상태 점검 후 활동 선택
→ 무릎, 허리, 시력 등을 고려한 안전한 직무 선택
3️⃣ 디지털 기기 익히기
→ 요즘 일자리 신청·급여 확인도 모두 온라인 중심
👉 관련 글 보기: 시니어 디지털 적응 가이드 3편 – 스마트폰 기초활용법
마무리
정년퇴직은 ‘일의 끝’이 아니라 ‘새로운 시작’입니다.
2025년의 시니어 일자리 정책은, 단순한 소득 지원이 아닌 삶의 활력과 자존감 회복을 위한 기회로 설계되어 있습니다.
일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, 세대 간 소통하며, 사회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것 — 그것이 진짜 시니어 라이프의 완성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