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니어에게 교통비는 생활비 중에서도 부담이 큰 항목입니다. 특히 병원 진료나 시장, 경로당 등을 자주 방문하는 분들에게는 매달 쌓이는 교통비가 결코 적지 않습니다. 이런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만 65세 이상 시니어를 위한 대중교통 할인제도
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.

 
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전국의 지하철, 버스, 택시, 농어촌 교통수단 등에서 받을 수 있는 주요 할인 혜택과 신청 방법을 시니어 눈높이에 맞게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
 

2025년 시니어를 위한 대중교통 할인제도 완벽 정리

🚉 1️⃣ 시니어 교통할인제도란?

시니어 교통할인제도는 만 65세 이상 국민
지하철, 버스, 철도 등 대중교통을 무료 또는 할인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복지정책입니다.

이 제도는

  • 고령층의 이동권 보장,
  • 교통비 부담 경감,
  • 사회참여 확대를 위해 전국 지자체가 함께 시행 중입니다.

🚇 2️⃣ 지하철 무료 이용 제도

구분대상혜택비고
서울특별시 만 65세 이상 지하철 전 구간 무료 수도권 전철(서울~인천~경기) 이용 가능
부산광역시 만 65세 이상 지하철 무료 버스는 별도
대구·광주·대전 만 65세 이상 도시철도 전 구간 무료 타 도시 이동 시 할인 미적용

💬 Tip: 타 지역 시니어가 서울 지하철을 이용해도 무료입니다.
단, 코레일(일반 열차) 구간은 제외되니 주의하세요.


🚌 3️⃣ 시내버스·광역버스 할인 제도

지역할인 내용비고
경기도 만 70세 이상, 시내버스 30% 할인 교통카드 필수
부산시 만 70세 이상, 일반버스 50% 할인 시니어 교통카드 등록 필요
대전시 만 65세 이상, 버스 무료 시범사업 중 2025년 상반기 확대 예정
제주시 만 70세 이상, 버스 요금 무료 도민등록 기준
강원 일부 농어촌 월 2~3만 원 교통비 바우처 제공 현금 환급형

🪙 포인트:
교통카드 등록이 되어야 할인 혜택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.
(일반 카드 사용 시 할인 불가)


🚆 4️⃣ 철도·고속버스 할인

구분대상혜택
KTX·SRT 만 65세 이상 30~40% 할인 (좌석 제한 있음)
무궁화·새마을호 만 65세 이상 30% 할인
시외·고속버스 일부 노선 한정 주중 오전 시간대 10~20% 할인

💡 예시:
서울 ↔ 부산 KTX, 만 70세 이상 평일 오전 40% 할인
→ 스마트폰 코레일톡 앱 또는 역 창구에서 ‘고령자 할인’ 선택 가능


🚖 5️⃣ 택시·이동지원 서비스

🚕 (1) 복지택시 제도 (지자체별)

  • 70세 이상 또는 장애 시니어 대상
  • 월 10~20회 무료 또는 50% 할인
  • 신청처: 주민센터 ‘교통복지과’
  • 예:
    • 경기도 안산시: 복지택시 1회 1,500원 정액
    • 전북 익산시: 70세 이상 월 10회 무료 운행

🚐 (2) 시니어 이동지원 차량

  • 거동이 불편한 시니어 대상
  • 사전예약제 (복지콜센터 또는 ‘두루콜’ 앱 이용)
  • 병원·공공기관 이동 중심 운영

🧾 6️⃣ 교통비 지원 및 캐시백 제도

제도내용신청 방법
교통비 캐시백 (T-money) 월 50회 이상 이용 시 5~10% 적립 T-money 앱에서 자동 신청
농어촌 교통비 지원금 시·군 단위 교통이용권 (월 2만~3만 원) 지자체 주민센터
시니어 교통바우처 저소득층 65세 이상 대상, 연 24만 원 지급 복지포털 또는 읍면동센터

💬 2025년부터는 모바일 교통카드에도 캐시백이 자동 적용됩니다.


🪪 7️⃣ 신청 방법 요약

1️⃣ 주민센터 방문

  • 신분증 지참 → “고령자 교통복지카드” 신청서 작성

2️⃣ 은행 또는 교통카드사 등록

  • 농협·신한 등 협약은행에서 카드 발급
  • 교통카드 등록 완료 시 할인 자동 적용

3️⃣ 스마트폰 앱 등록 (선택사항)

  • T-money / 카카오페이 / 네이버페이 앱에서 등록 가능

🕒 신청 후 사용까지 평균 5~7일 소요됩니다.


🧠 8️⃣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서울 외 지역 거주자도 서울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나요?
➡ 네. 전국 어디서든 만 65세 이상이면 서울 지하철 무료 이용 가능.

Q2. 가족이 대신 신청할 수 있나요?
➡ 가능합니다. 위임장과 대리인 신분증 지참 시 가능.

Q3. 교통카드가 없으면 현금으로 할인받을 수 있나요?
➡ 불가합니다. 반드시 고령자용 교통카드 등록 필요.


💡 9️⃣ 시니어 교통비 절약 꿀팁

1회용 교통카드 대신 고령자 전용 카드 사용
→ 자동 할인, 분실 시 환불 가능

지자체 교통지원금 중복 확인
→ 교통카드 + 바우처 중복 적용 지역 존재

스마트폰 등록 시 캐시백 자동 적립
→ 모바일 사용이 가능한 시니어라면 필수


🩶 🔟 마무리

시니어 교통할인제도는 단순히 요금을 깎아주는 제도가 아니라,
“이동할 자유를 보장하는 복지정책”입니다.
2025년 이후에는 점점 더 디지털 교통카드와 연계된 혜택이 확대되고 있으니,
주민센터나 교통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자신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꼭 확인하세요.

+ Recent posts